사람들이 많이 오고가는 번화가
나는 친구들과의 약속을 위해 걷고 있었다
친구들과 연락하던 중 내 눈 앞에 한 사람이 길 건너편 위쪽을 바라보고 있었다.
나는 뭐가 있나 생각했지만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런데, 길 건너 위쪽을 바라보는 사람이 한 명 더 생기기 시작했고,
곧이어 한 명 더 길 건너를 바라보는 것이 아닌가?
나는 '뭐지?'하며 나도 모르게 길 건너를 보았다
길을 가던 중에 내 눈 앞에 3명의 사람이 길 건너 편 위쪽을 보고 있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 같습니까?
그냥 길을 간다? 아니면 나도 그쪽을 바라본다?
위의 내용은 3의 법칙에 대한 이야기이다
스탠리 밀그램은 '3의 법칙'을 실험을 하였다.
번화가에 실험자를 투입하여 한 건물의 6층 창문을 바라보게 하였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실험자를 따라 6층을 얼마나 바라볼까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한 사람이 봤을 때와 세 사람이 봤을 때는 차이가 있었는데,
3사람이 위를 바라보니 60%넘는 사람이 위를 바라보았다.
이 실험과 비슷한 실험을 과거에 EBS에서도 한 적이 있었는데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3의 법칙?
세 사람이 모이게 되면 집단이 되어 그 사람들의 행위가 힘을 받는 것을 말한다
삼인성호(三人成虎)라는 말이 있는데
'세 사람이 말하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거짓말도 여러사람이 하게 되면 믿게 된다는 의미인데, 집단이 주는 힘이 크다는 의미로 쓰인다
사람은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행위를 한다면 나 또한 동일한 행위를 하기 쉽다.
왜 그럴까?
나를 제외한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행동을 하면
'사람들이 그렇게 하는데는 이유가 있다'라고 생각하게 되고
동일한 행동을 했을 때, 부담이 없어진다.
왜냐면? 나 말고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했기 때문이다.
3이라는 숫자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심리적으로는 집단이라는 인식을 심어준다.
나를 1명이고, 너를 포함하면 2명이 되는데, 3이 되려면, 2에서 +1이 되어야지만 가능하다
그 이야기는 두 사람이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닌, 그것에 동참하는 사람이 적어도 1명이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므로 '사람들이 이렇게 하는데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힘을 실어준다.
사람들이 '누가 뭐라고 하더라'라고 하는
'카더라 통신'과 같은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데
이것 또한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 친구가 나에게
ⓐ : 'ㅇㅇ주식이 오를거야. 너도 투자할 생각있으면 투자해봐'
ⓑ : '내가 들었는데, ㅇㅇ주식이 오른다고 하더라. 너도 투자할 생각있으면 투자해봐'
라고 하는 경우에 ⓐ과 ⓑ중에 어느 것이 더 신빙성이 있게 느껴지는가?
ⓐ은 친구의 주관적인 생각이라는 느낌이 강하지만
ⓑ는 친구가 들어온 정보를 나에게 알려주는 느낌이다.
여기에서 ⓑ를 보면, 친구에게 정보를 알려준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느끼게 되는데,
친구가 들은 정보를 많은 사람들이 본다고 들으면 들을수록 더 신빙성이 있게 느껴진다.
3의 법칙은 사람이 집단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보여주지만
반대로 보자면, 나와 뜻이 함께하는 사람이 세 명이 된다면
집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말이 된다
나는 주변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 연약한 존재이면서도
잠재적인 강력한 존재라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로 통해 더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
큰 도움을 주고, 작은 도움을 받는다? / 호의에 대한 입장 차이 (0) | 2022.11.15 |
---|---|
나는 사랑받을 만하다(I deserve to be loved) (0) | 2022.11.15 |
플라시보 효과(위약 효과) (0) | 2022.11.12 |
행복이란?(Happiness) (0) | 2022.11.11 |
칭찬과 지적,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일까?(피드백 방법) (0) | 2022.11.10 |
댓글 영역